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텔레필드-작성중
    기업분석 2020. 9. 4. 20:34

    광전송 장비산업은 수백 종의 부품과 모듈로 구성되어 수많은 첨단 기능들을 수행하는 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해야 하는 분야로서 5G 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늘어나는 통신수요와 새로운 형태의 융합형 서비스 도입과 급속한 확산에 따른 통신환경의 진화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첨단 기술 추세에 민감하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산업전반에 반영해야 하는 첨단기술 산업 분야

     

    광전송장비 시장은 신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비 공급 이외에도 3~5년 주기로 이뤄지는 노후화장비 대체, 전송망의 고도화에 따른 장비 증설 및 신설 등의 기본 수요가 있어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

     

    2020년에는 10배 이상 처리속도를 보장하는 모바일 프론트홀과 백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스스로 목적지까지 알아서 찾아가는 자율주행형 차량과 폐쇄회로TV(CCTV)로 범죄를 예측하는 서비스 기술 등이 서비스에 적용될 예정에 있습니다.

     

     

    향후 POTN* 시장은 기존 전송장비 시장의 대다수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장비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이며, 2019년 marketresearchfuture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20년 전세계 광전송장비 시장규모는 29조1천억원 규모로 연평균 10%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45조5천억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비하여 국내시장의 비중은 2020년 1.03%에서 2025년 1.5%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테라급 패킷광전송망장치(POTN(Packet Optical Transport Network))

     

    공공기관들의 국산장비에 대한 역차별 등으로 쉽지 않은 사업적 환경에 처해 있습니다. 또한 시장 내 동조업체 상호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급격한 통신시장의 고도화로 인해 고객의 기술적 요구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막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개발되는 제품들의 수명도 점점 가용 판매기간이 짧아지는 추세에 있습니다.

     

    비메모리 반도체 부품과 광모듈은 광전송장비의 핵심을 구성하는 부품입니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용칩들과 당사의 기술력이 집약되어 있는 FPGA*로 분류됩니다.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re semiconductor devices that are based around a matrix of configurable logic blocks (CLBs) connected via programmable interconnects. FPGAs can be reprogrammed to desired application or functionality requirements after manufacturing.

     

    영업개황

    당사의 주력사업인 기업전용회선 가입자들의 트래픽 개선에 따른 장비고도화, IPTV서비스에 따른 전송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한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져, 당사는 KT와 SK, LGU+ 등 대규모 통신사업자와 공공부분 및 민간투자 등 매출선 다변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매출(8조6082억원)은 2017년(7조2579억원) 대비 18.6% 증가해서, 연평균(2015~2018년) 22.6% 증가했으며, 전체 매출에서 내수(7조8880억원)가 절대적 비중(91.6%)을 차지했지만 수출이 연평균 40%씩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분야별로는 센서·모듈, 원격검침·시설모니터링·생채인식 등 제품기기 매출(3조6724억원, 42.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2017년 대비 매출 증가율(12.6%)은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5)  Fronthaul(T-PON) 사업의 내용 및 전망

     5G 시대에는 급격히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스몰셀 투자가 확대될 전망이며, Gartner에 따르면, 스몰셀 출하량은 2017년부터 2021년 연평균 +8.3% 성장하며, 매출액은 동기간 +14.3%의 높은 성장을 기록할 전망

    이동통신 사업자관련 해서는 사업자투자계획에 따라 집행되는데, 년초에 투자 계획이 결정되는 구조로 본격적인 투자는 2분기 이후에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Fronthaul(5G-PON)시스템 경우 초기 개발 및 공급업체 선정 이후에는 타 업체가 진입하기에는 기술적, 경제적인 면에서 어려운 현실

    WDM(Wave Division Multiplexing) 을 활용한 16WL(16채널 Wave Length)기술을 확보하여, SKT와 공동으로 개발하였고, SKT의 RRH Backhaul용 5G-PON(5G-Passive Optical Network)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33. 사업부문별 정보

    (1) 당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108호 '영업부문'에 따른 보고부문이 단일부문이므로 부문별 정보를 공시하지 않습니다.

    (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당사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고객에 대한 매출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당반기전반기금액비율(%)금액비율(%)

    (주)케이티 11,983,017 79.25% 5,461,343 55.21%
    한국철도시설공단 531,237 3.51% 2,825,080 28.56%
    기타 2,607,077 17.24% 1,605,474 16.23%
    합   계 15,121,331 100.00% 9,891,897 100.00%

    => 너무 고객이 KT로 쏠려있음. 하지만 코위버의 매출구성을 보면

    같습니다(단위:천원).

    구분당반기전반기금액비율(%)금액비율(%)

    (주)LG유플러스 12,254,493 35.76 8,454,461 22.39
    (주)케이티 7,510,100 21.91 5,142,975 13.62
    기타 14,508,645 42.33 24,169,288 64.00
    합계 34,273,239 100.00 37,766,724 100.00

    LG와 KT가 36%, 22%를 구성하고, 기타에서도 42%로 고객이 잘 나눠져 있음

     

     

     

    Job Planet

     

     

    경쟁사

      - 코위버

    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6400

     

    코위버, 광전송장비(ROADM)에 양자내성암호 기술 적용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LG유플러스가 세계 최초 양자내성암호(PQC: Post Quantum Cryptography) 기술을 적용했다고 밝힌 네트워크 장비는 국내 1위 광전송장비업체 코위버의 광전송장비(ROADM)인 것으로 11일 확인됐다. 앞으로 LG��

    www.thelec.kr

     

     

    텔레필드를 조사하다가 코위버라는 회사를 알게되었다.

    시총이 텔레필드의 약 3배지만, 국내 1위 광통신장비업체다.

    우선 job planet에서의 리뷰는 텔레필드보다는 낫다.(다들 회사는 욕하지만, 향후 발전할 것이라는 의견이 몇차례 있었다.)

    재무적으로는

    텔레필드는 단기차입금 : 51억, 유동전환사채 : 32억, 유동파생금융부채 : 20억, 장기차입금 : 45억, 전환사채 : 45억, 파생금융부채 : 24억// 현금 : 172억,  장기금융자산 : 0.5억, 

    코위버는 단기차입 : 120억, 유동성장기차입금 : 5억, 장기차입금 : 17억 // 현금 : 206억, 단기금융상품 : 151억, 기타유동금융자산 : 2억, 장기금융상품 : 109억, 장기투자자산 : 118억,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억, 투자부동산 : 106억

    으로 코위버는 현금화 시킬 수 있는 자산이 많다.(코위버 시총 1000억, 현금화가능 자산 700억)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텍은 왜 적자지만 투자할만한 회사였는가  (0) 2020.10.05
    삼진  (0) 2020.09.09
    마이크로컨텍솔  (0) 2020.07.29
    아비코전자  (0) 2020.07.12
    SKC  (0) 2020.04.08
Designed by Tistory.